개발과정 개발 5~10일차 디자인 기획하는 방식을 변경하였다. 기존에는 필요한 기능이 생각나면 그때그때 추가하는 방식으로 디자인 기획을 진행하였었다. 디자이너가 해당 방식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유저가 들어와서 겪는 프로세스에 따라 와이어프레임을 선 제작 후 디자인을 하자고 건의 하였다. 그 방식이 일리가 있어 바로 적용하였더니 더 깔끔하게 작업이 진행되었다. 기존에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던 기획이 유저의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하니 진행속도가 매우 빨라졌다. 덕분에 위와 같이 작업이 진행되었다. 슬슬 HTML로 틀이라도 잡아놔야겠다. 지금은 틀을 만드는 것까지 진행되었기에 와이어프레임 작업이 끝나면 각 페이지의 디자인도 메인 컬러에 맞춰 싹 제작해야한다. 2021.10.31 개발 3~5일차 - 우선순위 기준 기능들 웹디자인 디자인과 기능들에 대한 회의를 대부분 진행하였다. 필요한 기능들은 나와 백엔드 개발자가 웹소설을 좋아해서 둘이 기획을 했다. MVP 단계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들을 위주로 개발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툴바기능 -글자 편집기능 -하이라이트 온오프 -에피소드 진행도 표시 -자동저장 -멀티탭 -모바일 랜더링 -인과관계 설정기능 -페이지 설정 -검색어(태킹) 위 기능들을 위주로 가지고 가며 중간중간마다 필수적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로 넣으며 진행하는 중이다. 어떤 방식으로 개발을 해야 유저들의 액션 코스트가 줄어드는지를 중점으로 기획 중이다. 최대한 UI를 복잡하지 않고 심플하게 가져가며 초등학생이 와도 바로 사용 가능한 툴을 만드는 것을 기준으로 삼았다. 툴바 기능만 해도, 복선, 캐릭터, 세계관 등에 대해.. 2021.10.16 개발 2일차 - 개발 기능 우선순위 설정 유저들이 원하는 기능을 취합 하였다. 팀원과 상의하여 각 기능에 대한 점수를 측정했고 최우선적으로 개발 해야 될 기능을 정리하였다. 사용하는 협업 툴은 노션으로 설정했으며 화상 회의는 팀스로 진행 하기로 하였다. 기존 백엔드를 node.js 로 하려 했는데 새로 나온 fastAPI를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기로 했다. 자동으로 다큐멘테이션이 작성되고 빠른 개발 속도와 node.js 와 맞먹는 퍼포먼스를 보여 주기 때문에 선택하였다. 다음 주에는 개발 기능에 따른 디자인을 구현해 보기로 하였다. 2021.09.30 개발 1일차 - 프로젝트 시작 아이디어는 가지고 있었는데 이걸 프로젝트로 만들어도 되는가 확신이 없었다. 그래서 검증을 해보았다. 이건 아이디어 수준이긴 한데 여기 작가분들이 많아서 올려봐요 - 웹소설 연재 갤러리 웹소설을 좋아해서 계속 읽다보니 웹소설 시장이 생각보다 커지고 있다는걸 체감하게 되었습니다.그래서 웹소설 시장이 커진 만큼 웹소설 작가들도 증가할거라 예상하고 웹소설 작가들을 대상 gall.dcinside.com 웹소설 작가들을 타켓으로 하는만큼 가장 웹소설 작가들이 많은 커뮤니티로 들어가 반응을 확인해보았다. 반응은 생각보다 좋아서 팀을 만들고 프로젝트를 시작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팀원을 모았다. 우선 프론트 엔드 개발은 내가 한다. 프레임워크로는 요즘 많이 쓰이는 React를 기반으로 제작할 예정이다. 백.. 2021.09.27